로고


전시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전시상세정보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손동현: 석양에 내려앉은 눈

  • 전시분류

    개인

  • 전시기간

    2025-05-09 ~ 2025-11-27

  • 참여작가

    손동현

  • 전시 장소

    이상범가옥

  • 유/무료

    무료

  • 상세정보
  • 전시평론
  • 평점·리뷰
  • 관련행사
  • 전시뷰어


손동현 : 석양에 내려앉은 눈
2025. 5. 9 – 2025. 11. 27
이상범가옥

2025 우리고장 국가유산 활용사업
주최 국가유산청 서울시 종로구 | 주관 김달진미술자료박물관


이상범가옥과 화실 ⓒ국가유산청

  김달진미술자료박물관은 종로구 누하동 이상범가옥에서 《손동현 : 석양에 내려앉은 눈》전을 5월 9일부터 11월 27일까지 개최한다. 이상범가옥은 한국화의 대가 청전 이상범(1897-1972)의 자택이자 화실로 2005년에 등록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이곳은 이상범의 제자인 배렴, 박노수와 같은 후대 한국화가가 교육 받은 ‘청전화숙’이기도 하다. 국가유산청과 서울특별시, 종로구가 주최하는 '우리고장 국가유산 활용사업’으로 진행되는 이번 전시는 이상범가옥을 전시공간으로 활용한 두 번째 전시이다. 사업 주관처로서 김달진미술자료박물관은 ‘전통의 현대적 변용’이라는 큰 주제 아래 2000년대부터 전통 한국화 기법을 바탕으로 현대적 소재를 풀어내며 주목받아온 손동현 작가의 전시를 선보인다.


이상범가옥에서의 이상범과 가족, 1940년대 후반

  청전 이상범은 1922년 제1회 조선미술전람회 입선 후 여러 차례 특선하였으며, 해방 이후 대한민국미술전람회 고문과 홍익대학교 교수로 후학을 양성한 한국 근대 화단을 대표하는 작가이다. 청전은 청년이던 1923년 동료 작가이던 변관식, 노수현, 이용우와 함께 동연사(同硏社)를 조직하며 전통화의 새로운 길을 모색하고자 했으며, 관념산수의 틀에서 벗어나 ‘신구화도(新舊畵道)’ 연구를 기반으로 실재하는 경치를 단일시점으로 원근법을 적용하고 철저한 사생으로 근경을 확대한 작품을 선보였다. 청전은 기암절벽과 계곡 대신 산골의 농가, 초가집과 기와집, 개울과 목제 다리를 화면에 그려 넣었고, 가축을 몰거나 밭을 가는 농부, 지게를 진 초부, 양동이를 진 노인, 낚시질하는 노인 등 인물을 화면 중심부에 배치하였다. 이는 당시 시골 어디서나 볼 수 있는 풍경이자 우리 주변의 진실한 삶의 모습이었다. 이처럼 청전은 ‘청전화풍’이라는 말이 생길 정도로 현실의 풍경을 자신만의 준법으로 새롭게 구성하여 독창적인 이상적 이미지로 구현했다.

  손동현(1980- )은 20여 년간 한국화와 대중예술을 자신만의 방식으로 변용하는 작품을 선보여 온 작가이다. 작가는 2006년 ‘Pop-Icon’을 한문으로 음차한 ‘파압아익혼(波狎芽益混)’이라는 제목으로 첫 개인전을 열고 슈퍼맨, 슈렉, 스타워즈 다스 베이더 같은 대중예술 아이콘을 한국화 기법으로 그려낸 작품을 선보였다. 작가는 실존 인물을 대상으로 하는 전통적 초상화 제작의 전제를 뛰어넘으면서도 그 재현 방식으로 가상의 인물을 재현했다. 그의 작업 세계는 동북아시아 회화의 전통적 기법과 매체의 특성을 담아낸 작업으로 전개되고 있다. 한국화의 정형화된 형식에 대한 질문과 그에 대한 자신의 답을 찾아가는 과정이 그의 작품 세계를 아우르는 주제의식이다. 


손동현, 〈한림모설〉(寒林暮雪, Snow at Dusk in a Cold Forest), 2024-2025, 종이에 먹· 잉크·크레용·인주(印朱), 194×130㎝

  이번 전시에서 손동현은 청전의 산수화 중 설경에 감응하며 이를 차용한 신작 〈한림모설〉(2024-2025)을 비롯하여 20여 점의 작품을 선보인다. 작가는 이에 대해 “청전 특유의 완만한 산세와 서체추상에 가까운 필법 등에 영향을 받았지만, 그 영향은 개별 작업의 형식에 따라 다르게 적용했다. 〈한림모설〉은 청전 작업 중 설경만을 모아 구도를 만들었지만, 완만한 산세가 모이고 쌓여 청전스럽지 않은 대관산수를 구성한 작업”이라고 설명하였다. 이외에 8곡병 〈사계산수〉(2024-2025)은 작가가 청전을 비롯한 여러 한국화가가 즐겨 사용했던 전통적 ‘사계산수’ 구성을 비선형적 방식으로 재구성한 작품이다.


손동현, 〈사계산수〉(四季山水, Landscape of the Four Seasons), 2024-2025, 종이에 먹·잉크·크레용·인주(印朱),
182×360㎝, 8곡병, 화면 각 폭 130×45㎝

  전시 오프닝 행사는 5월 9일 오후 3시 30분에 이상범가옥에서 진행된다. 또한 5월 한 달 동안 여섯 명의 전문 연구자가 릴레이 강연을 진행한다. 5월 13일 성균관대학교박물관 학예실장 안현정, 5월 14일 이천시립월전미술관 학예실장 장준구, 5월 16일 서울대인문학연구원 책임연구원 서유리, 5월 20일 겸재정선미술관장 송희경, 5월 21일 동덕여자대학교 교수 김상철, 5월 23일 한겨레 미술·문화재 전문기자 노형석이 발표한다.

  전시를 기획한 김정현 학예사는 “이번 이상범가옥에서 개최될 손동현 작가의 전시는 이상범가옥을 방문할 관광객들이 직접적으로 ‘전통의 계승과 발전’에 대해 사고하며 경험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다. 이상범가옥이 더욱 알려지고 많은 분이 방문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라고 전시 기획 의도를 밝혔다.


관람시간 | 화-일 오전 9시-오후 6시(11월, 오전 9시 30분-오후 5시 30분)
전시장소 | 이상범가옥(서울 종로구 필운대로 31-7)





손동현 ⓒ국가유산청

손동현(b.1980)

주요 개인전
2024 용 룡, 갤러리2, 서울
2023 아워세트: 레벨나인×손동현, 수원시립아트스페이스광교, 수원 (2인전)
2022 잉크 온 페이퍼 3 (Ink on Paper Ⅲ), 갤러리2, 서울
2021 이른 봄, 페리지 갤러리, 서울
2020 하더, 베터, 패스터, 스트롱거 (Harder, Better, Faster, Stronger), 교보아트스페이스, 서울
2020 잉크 온 페이퍼 2 (Ink on Paper II), 갤러리2, 서울
2018 피겨스 (Figures), 갤러리2 중선농원, 제주
2018 바디 앤 소울 (Body & Soul), 갤러리2, 서울
2017 자스민 드래곤 피닉스 펄 (Jasmine Dragon Phoenix Pearl), 송은아트스페이스, 서울
2015 잉크 온 페이퍼 (Ink on Paper), 갤러리2, 서울
2014 소나무 (Pine Tree), 스페이스 윌링앤딜링, 서울
2012 악이 머무는 곳 (Where Evil Dwells), Aando Fine Art, 베를린
2011 악당 (Villain), 갤러리2, 서울
2010 섬 (island), 프로젝트 스페이스 사루비아다방, 서울
2008 왕 (KING), 갤러리2, 서울
2007 로고 타이프 (Logotype), 두아트 갤러리, 서울
2006 파압아익혼:波狎芽益混, 아트스페이스 휴, 서울

주요 그룹전
2024 끝없이 갈라지는 세계의 끝에서,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2023 시간의 형태: 1989년 이후의 한국미술, 필라델피아 미술관, 필라델피아, 펜실베니아, 미국
2022 한국의 채색화 특별전: 생의 찬미, 국립현대미술관 과천관, 과천
2021 전남국제수묵비엔날레, 오채찬란 모노크롬-생동하는 수묵의 새로운 출발, 비엔날레 3관: 유달초등학교, 목포
2020 시대를 보는 눈: 한국근현대미술, 국립현대미술관 과천관, 과천
2019 광장: 미술과 사회 1900-2019 2부. 1950-2019, 국립현대미술관 과천관, 과천
2018 쌈지스페이스 1998-2008-2018 여전히 무서운 아이들, 돈의문 박물관마을, 서울
2016 VERDICHTUNG, Aando Fine Art, 베를린
2015 제15회 송은미술대상, 송은 아트스페이스, 서울
2014 5회 오픈 스튜디오, 몽인 아트 스페이스, 서울
2013 진경 眞鏡 , OCI 미술관, 서울
2012 Tell Me Something, Aando Fine Art, 베를린
2011 Future Pass, Abbazia di San Gregorio, 베니스
2010 메이드 인 팝랜드,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2009 Up and Comers, 토탈미술관, 서울
2008 Beyond Cartoon: Asian Contemporary Art Group Show, Beyond Art Space, 베이징
2007 언어적 형상 형상적 언어,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2006 차도살인지계:借刀殺人之計, 카이스 갤러리, 서울
2005 Funny Funny Ⅳ, 갤러리 세줄, 서울

레지던시, 수상, 기금
2021 서울문화재단 작가 지원
2017 문화예술발전유공자 포상, 오늘의 젊은 예술가상, 문화체육관광부
2015 제 15회 송은 미술대상 대상, 송은문화재단
2013-2014 몽인 아트 스페이스 레지던시, 서울
2007 문예진흥기금 뉴스타트
2006-2007 쌈지스페이스 레지던시 프로그램 1년 입주작가, 서울

작품소장
국립현대미술관, 대구미술관, 서울시립미술관, 송은문화재단, 수원시립미술관, 전남도립미술관, 정부미술은행, OCI 미술관 등

학력
2014 미술학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동양화과 동양화전공 졸업
2005 미술학사(동양화)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동양화과 졸업

강의
2024- 성균관대학교 예술대학 미술학과 (조교수)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