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만한 수묵화뿐 아니라 화가의 손끝에서 피어나는 지두화나 현대 픽셀화를 연상시키는 지직화 등 다양한 기법의 우리 그림이 친근하고도 새롭게 다가온다. 새해 기쁜 소식을 듣고자 한 까치와 호랑이, 부귀영화를 바라는 모란 병풍, 사회적 성공을 비는 게와 물고기 등 지금도 다르지 않은 일상에서 멋과 흥을 취하게 해준다.
책소개
가볍게 펼쳤다가 어느새 스며드는 우리 그림 이야기
시대를 넘어 공명하는 그림 속 소망을 해설하다
옛사람들의 은은한 멋이 흐르는 전통회화 60여 점으로
그들과 공존했던 동물과 식물,
아름다운 산수, 생활용품과 옷차림까지…
한국 고유의 아름다움을 오늘날의 감각으로 해석하다
매력 있는 세부 요소들로 발견하는
한국 전통회화의 진면목
화려하고 다채로운 세계 각국의 예술작품을 어디서든 감상할 수 있는 현대인에게 무채색 위주의 전통회화는 자칫 고루하게 느껴질 수 있다. 그러나 드라마나 영화 등 다양한 예술 분야에서 한국의 작품이 사랑받고 있는 요즘, 우리는 우리 예술의 뿌리를 돌아볼 필요가 있다. 『볼수록 아름다운 우리 그림』은 다양한 재료와 기법으로 선조들의 멋과 자연, 일상을 담은 60여 가지 작품을 통해 우리가 잊고 있었던 한국 전통회화의 미를 재발견하는 책이다.
수묵화만 떠오르던 전통회화의 경계를 넘어 화가의 손가락 끝에서 탄생한 지두화나 현대의 픽셀화를 연상시키는 지직화 등 다채로운 기법의 작품을 총체적으로 다루고 있다. 그 뿐만 아니라 보자기 같은 일상 속 예술작품까지 수록하여 선조들의 멋과 창의성을 엿볼 수 있는 장을 마련했다.
동양화를 전공한 저자 이소영은 새로운 시각으로 우리 그림을 재발견했다. 그는 전통을 낡고 고루한 것으로 보지 않고, 한국 고유의 아름다움을 오늘날의 감각으로 해석해 자신만의 관점으로 담아냈다. 이러한 시선은 전통회화가 막연히 어렵고 재미없다고 생각하는 독자들에게 내재된 멋과 흥을 끌어올려줄 것이다.
가족의 건강, 취업 및 승진, 부귀영화…
현대인의 바람과 맞닿은 선조들의 염원
옛사람의 소망은 현대인의 바람과 맞닿아 있다. 새해에 기쁜 소식이 오길 바라는 마음으로 그려낸 까치와 호랑이 그림부터 부귀영화를 염원하는 모란 병풍, 입신양명을 기원하는 게와 물고기 그림까지 우리 민족은 오랜 세월 동안 소재가 주는 상징에 익숙했고 가까이 두고 보면 이뤄질 거라는 깊은 믿음을 품었다.
고양이나 나비, 맨드라미와 수탉처럼 이질적인 소재를 한 화면에 담기도 했는데, 이는 중국에서 고양이와 70세 노인, 나비와 80세 노인을 의미하는 한자 발음이 같기 때문이다. 금전운을 가져다준다는 해바라기 그림을 현관에 걸거나, 네잎클로버 모양의 액세서리를 몸에 지니듯 현대인의 모습도 옛사람들과 크게 다르지 않다. 이렇듯 옛 그림에 담긴 상징의 의미를 알면 반짝 빛나는 깨달음과 함께 선조들의 소망에 자연스럽게 공감할 수 있다.
옛사람의 시선으로
그림 속 세상을 읽다
동물과 식물, 산수화의 요소, 생활 속 소품, 그리고 옛사람의 아름다움까지 총 5부로 구성된 이 책은 우리 그림을 깊이 들여다보는 기회를 제공한다.
1부에서는 그림 속에 녹아든 옛사람과 동물의 특별한 관계를 탐구했다. 선조들은 동물을 단순한 생명체가 아닌 삶의 동반자이자 상징적 존재로 받아들였다. 강아지나 고양이 같은 친숙한 동물부터 도마뱀이나 고슴도치 같은 다소 낯선 동물까지 우리 그림에 나타나는 다양한 동물을 살펴보았다.
2부에서는 옛사람과 자연의 일부로 함께했던 식물을 소재로 한 예술작품을 소개했다. 연꽃과 모란 같은 화려한 꽃부터 대나무와 포도처럼 소박하면서 깊은 의미를 지닌 식물까지 다양한 작품을 통해 옛사람들의 마음을 들여다보았다.
3부에서는 우리 민족의 삶과 정신이 깃든 산수화 속 요소를 다뤘다. 탈속의 은둔자 같은 옛사람의 모습이나 관동팔경 중 하나인 총석정 등 산수화의 멋을 더해주는 세부 요소를 소개했다. 겸재 정선, 능호관 이인상, 소정 변관식 등 대가의 개성이 드러나는 산수화도 감상할 수 있다.
4부에서는 일상을 함께하는 물건에 녹아든 예술작품의 아름다움을 조명했다. 생활용품은 실용성 있는 도구를 넘어, 선조들의 염원과 미적 감각을 담는 예술적 매체다. 가마나 보자기 같은 생활용품뿐만 아니라 조립식 배다리나 도르래 등 당시 과학기술을 엿볼 수 있는 뛰어난 발명품도 다뤘다.
마지막 5부에서는 옛사람의 외양에 깃든 멋을 들여다보았다. 실제를 똑같이 재현해야만 한다는 선조들의 초상화 철학부터 구운몽 속 등장인물이나 수성노인 등 상상 속 존재의 독특한 묘사 방식까지 인물을 바라보는 옛사람들의 시선을 탐색할 수 있다.
지은이 | 이소영
홍익대학교에서 동양화를 전공하고 석·박사학위를 받았다. 전통 문화와 미술해부학에 관심이 많아서 수묵 애니메이션을 만들고, 옛 작품을 소개하는 글을 쓰고 있다. 마음의 쉼터로 박물관에 자주 들르는데 울림을 주는 유물을 통해 영감을 받는다.
홍익대, 고려대, 단국대, 안동대 등에서 강의하였고, 문화센터에도 출강 중이다. 『옛 그림 속 우리 얼굴』(2009), 『꽃 속에 마음 담은 우리 옛그림』(2011), 『심홍 이소영의 수묵일러스트레이션』(2016), 『우리에게도 예쁜 것들이 있다』(2022) 등의 책을 썼다.
목차
들어가며
1부 생동하는 동물의 따스함
1. 움직이는 벌의 생생한 날갯짓/ 신사임당, 〈오이와 개구리〉
2. 오이를 이고 가는 고슴도치/ 정선, 〈자위부과(刺蝟負瓜)〉
3. 꽃 향에 취한 긴꼬리제비나비/ 남계우, 〈화접도〉
4. 나비 같은 꽃잎/ 신명연, 〈산수화훼도〉
5. 뒤돌아보는 도마뱀/ 신사임당, 〈양귀비와 도마뱀〉
6. 약육강식의 순간/ 심사정, 〈토끼를 잡은 매〉
7. 억울한 호랑이/ 작자 미상, 〈까치와 호랑이〉
8. 병아리의 미소/ 변상벽, 〈어미닭과 병아리〉
9. 졸고 있는 새/ 조속, 〈달밤 고목 위의 새〉
10. 물살을 가르는 날쌘 오리/ 홍세섭, 〈영모도〉
11. 달과 부엉이의 경계/ 박래현, 〈달밤〉
12. 노려보는 성난 고양이/ 장승업, 〈화조영모어해도〉
13. 시도 때도 없이 짖는 삽살개/ 김두량, 〈삽살개〉
14. 죽일 수 없는 상상 속 동물 불가사리/ 작자 미상, 〈백수도〉
15. 바위 위를 헤엄치는 고래/ 작자 미상, 〈반구대 암각화〉
16. 지혜를 품은 문어/ 작자 미상, 〈어해도〉
2부 고요히 스며드는 식물의 향기로움
17. 복을 불러오는 물총새와 연꽃/ 작자 미상, 〈화조도병풍〉
18. 픽셀 같은 화면 속 버드나무와 연꽃/ 작자 미상, 〈화조도〉
19. 하늘을 나는 연꽃/ 작자 미상, 〈비운연화도〉
20. 귀신 막는 맨드라미/ 작자 미상, 〈화초길상문자문 병풍 수본〉
21. 자손이 주렁주렁 포도/ 이계호, 〈포도〉
22. 기이한 조화의 괴석과 모란/ 작자 미상, 〈모란괴석도〉
23. 시련을 극복하고 친 대나무/ 이정, 〈대나무〉
24. 신선의 식물 파초/ 박병수, 〈낙화화조도〉
25. 고개 숙인 슬픈 난초/ 민영익, 〈묵란도〉
26. 사람 닮은 바위 틈과 식물들/ 정학교, 〈괴석도〉
3부 산수화 속 요모조모
27. 춤추는 소나무/ 정선, 〈정양사〉
28. 흑립을 쓴 여행자/ 변관식, 〈외금강 삼선암 추색〉
29. 손가락으로 지은 정자(亭子)/ 이인문, 〈지두산수화〉
30. 시간을 낚는 배/ 최북, 〈한강조어도〉
31. 낮은 곳으로 흐르는 물/ 작자 미상, 〈일월오봉도 벽장문〉
32. 투명한 바위의 무게/ 이인상, 〈구룡연〉
33. 겨울이 머무는 누각/ 김수철, 〈눈 내린 누각에서 매화를 감상하는 선비〉
34. 활짝 핀 꽃 같은 지도/ 작자 미상, 〈한성도〉
35. 정의의 사자 해치상/ 안중식, 〈백악춘효〉
36. 신선들이 노닐던 총석정/ 김규진, 〈총석정절경도〉
37. 삶의 무게가 느껴지는 지게/ 이상범, 〈조(朝)〉
4부 아기자기 생활용품
38. 역사를 싣고 가는 가마/ 작자 미상, 〈영조왕세제책례반차도권〉
39. 기발한 조립식 배다리/ 작자 미상, 〈주교도〉
40. 삶을 들어올리는 도르래/ 이인문, 〈끝없이 펼쳐진 강과 산〉
41. 풍류를 연주하는 거문고/ 작자 미상, 〈책가도〉
42. 꿈을 쌓은 책/ 작자 미상, 〈책가도〉
43. 일상을 집는 젓가락/ 김홍도, 〈점심〉
44. 평안을 바라는 꽃병/ 작자 미상, 〈모란기명 혁필화〉
45. 글씨가 된 화분/ 작자 미상, 〈화조문자도〉
46. 족자를 그린 그림/ 오세창 외 13인, 〈합작도〉
47. 상서로운 봉황 무늬 보자기/ 작자 미상, 〈봉황문인문보〉
48. 추상화 같은 범 가죽/ 작자 미상, 〈호피도〉
5부 옛 사람의 멋
49. 한국 신화 속 해신/ 작자 미상, 〈해신과 달신〉
50. 엄청 높은 정수리/이정, 〈복수도〉
51. 바람을 담은 옷자락/ 정술원, 〈백납도〉
52. 귀여운 동자 머리/ 작자 미상, 〈구운몽도〉
53. 세련된 색동주름치마/ 작자 미상, 〈곡예감상도〉
54. 챙이 넓은 여성용 모자/ 신윤복, 〈전모를 쓴 여인〉
55. 어사화 끝을 문 입/ 김준근, 〈신등용문〉
56. 살포시 디딘 발/ 작자 미상, 〈수월관음도〉
57. 알 수 없는 표정/ 김명국, 〈달마도〉
58. 세상을 보는 올곧은 눈/ 채용신, 〈황현 상〉
59. 축제의 꽃 선유락/ 김득신 외, 〈봉수당진찬도〉
60. 군중으로 이루어진 글자/ 이응노, 〈반전평화〉
나오며
미주
도판목록
FAMILY SITE
copyright © 2012 KIM DALJIN ART RESEARCH AND CONSULTING. All Rights reserved
이 페이지는 서울아트가이드에서 제공됩니다. This page provided by Seoul Art Guide.
다음 브라우져 에서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This page optimized for these browsers. over IE 8, Chrome, FireFox,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