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틸정보
메뉴 목록
스페셜
246 건
-
- (234)한국과 프랑스 사이의 모험, 서울미술관
- [2025-05-03] 김지수 [11]
- 《서울미술관 출품작가전》 리플릿, 서울미술관, 1983 ©김달진미술자료박물관서울미술관과 앙굴렘조형예술센터(Association du Centre d’Arts Plastiques d’Angoulême, AcApA - 자료에는 ‘앙굴렘미...
-
- (233)이쾌대 다시 읽기: 진실의 파편 위에서
- [2025-05-02] 진진영 [4]
- 이쾌대, <봄처녀>, 1940, 91×60cm © 이쾌대 유족 이쾌대(李快大, 1913-65)는 남한에서는 ‘월북자’, 북한에서는 ‘이념에 충실하지 못한 예술가’로 잊혀졌다. 남북 분단의 경계선에 놓인 가장 비...
-
- (232)임흥순의 〈비념〉을 통해 회고하는 제주 4·3
- [2025-05-01] 권헌익 [5]
- <비념> 공식 포스터 ⓒ 임흥순, 반달 bandaldoc.com 나는 임흥순(1969- ) 작가의 2012년 영화 〈비념 (Jeju Prayer·悲念)〉을 2018년 봄에야 접할 수 있었다. 서귀포 지역의 어느 지인과 함께 봤는데...
-
- (231)중견작가와 함께 만드는 현대미술의 재발견
- [2025-04-03] 김노암 [397]
- 권여현, 헤이리북하우스, 2023 대안공간 아트스페이스휴가 개관한 지 어느덧 23년이 되었다. 프린지페스티벌의 시각예술 전시를 기획했던 1999년부터 생각하면, 청년미술가들과 동고동락한 지도 26년 째이...
-
- (230)서울미술관 전시, 《프랑스의 신구상회화》
- [2025-04-02] 김종길 [278]
- 《프랑스의 신구상회화》전, 1982, 도록 ⓒ 김달진미술자료박물관 지난 2월 18일에 열린 ‘《서울미술관, 그 외침과 속삭임》 전시 사전 세미나’에서 필자는 서울미술관의 《프랑스의 신구상회화...
-
- (229)극단적 시대의 유아론(唯我論)
- [2025-04-01] 이선영 [185]
- 장지아, 〈도축된 소 한마리의 피로 만든 벽돌〉, 2012, 설치, 120×30×70cm소 한마리를 도축하여 받은 피를 그대로 머금고 있는 벽돌은 피로 쌓아 올린 문명을 암시한다. 어느 민주주의 국가든 여당과 야...
-
- (228)여수와 광양에서 본 것들
- [2025-03-01] 박영택 [358]
- 추운 겨울이지만 이 남도 끝자락의 바닷가는 여느 내륙과 인접한 바다의 그 처연한 막막함이나 드센 파도를 좀체 보여주지 않고 약간의 냉기만을 수면 위로 분산시켜 줄 뿐이다. 이 느긋한 남해바다의 한...
-
- (227)디지털 미술 플랫폼, 삶과 연결된 지속 가능한 미래로
- [2025-02-01] 홍희경 [476]
- 매해 1월에 열리는 IT 박람회 CES는 세계 기술 동향을 살펴볼 수 있는 자리다. 2025년 주제는 ‘Connect. Solve. Discover’ 그리고 ‘Dive in(몰입)’으로, 서로 연결하여, 문제를 해결하며, 새로운 가능...
-
- (226)이집트를 가다, 강익중 〈네 개의 신전〉
- [2024-12-02] 김달진 [1136]
- 이집트 피라미드 앞에서 열린 4회 국제미술제 《포에버 이즈 나우 Forever Is Now》(10.24-11.16)에서 강익중의 신작 〈네 개의 신전(Four Temples)〉이 공개되었다.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인 기자 피라미드...
-
- (225)2025년 한국미술시장 전망
- [2024-12-01] 조규훈 [1160]
- 2023년 국내 미술품경매 총 낙찰률은 약 51%에 머물러, 비수기인 2019년 수준이었다. 코로나19로 인한 급격한 유동성 투하 및 금리 인하로 사상 초유의 저금리 사태가 이어져 인플레이션 심화 부작용을 타...